Rocky Linux 9.x 미러서버 변경하기
Rocky Linux 9.x 미러서버 변경하기
rocky리눅스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미러 사이트가 변경되면서 방화벽에 IP를 주기적으로 등록하고 수정하는 과정이 너무 불편해 국내 미러 사이트로 맘먹어서 변경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문제를 겪었습니다.
미러서버 직접 변경..?
온라인에서 다양한 미러 사이트 변경 스크립트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신 버전 Rocky 9.x에서 작동하는 스크립트가 없어 이것을 수동으로 추가하는 것을 생각했지만, 컨테이너 12개를 직접 다 수정하는 것은 너무 비효율적이라 직접 스크립트를 짜보았습니다.
미러서버 변경방법
제가 Gist에 업로드 해두어 손쉽게 다들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변경 가능한 미러는 현재 Navercloud와 Kaist 서버 두개를 지정해두었습니다.
Change Rocky Linux mirror to a domestic server
Change Rocky Linux mirror to a domestic server. GitHub Gis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gist.github.com
wget https://gist.githubusercontent.com/mookseong/81dc29524cfadd6200868c56867a4fc8/raw/707dd4a2da7090af92796f58c60ceaf1e43cd75d/change-rocklinux9.x-mirror.sh
chmod +x change-rocklinux9.x-mirror.sh
sh ./change-rocklinux9.x-mirror.sh


순서대로 명령어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선택사항이 두가지 나옵니다. 미러 사이트 선택과 파일 선택이 나옵니다. 9.x부터는 rocky.repo에 통합 되어 있어서 'etc/yum.repos.d/rocky.repo', '/etc/yum.repos.d/rocky-extras.repo' 두개만 지정해줘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dnf repolist baseos -v
이후에 명령어를 입력해서 확인하시면 미러 사이트가 변경되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어 수정사항이나 변경사항이 있다면 gist에 comment 남겨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SOLID의 중요성과 아키텍처 설계
SOLID의 중요성과 아키텍처 설계
2024.07.18SOLID의 중요성과 레이어 설계작은 프로젝트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었지만, 기능이 많아지고 비즈니스 로직이 많아 지면서 스파게티 코드가 생기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멀티 모듈을 도입을 하면서 Layerd architecture를 도입하게 된 스토리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설계를 진행하다 보면 문제들이 많이 생기는데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에서 작성한 멀티모듈설계이야기 를 참고하면서 설계를 했습니다. 여러분들도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될 거 같습니다. SOLID의 부재Spring을 공부하면 MVC 패턴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 저희 팀도 이를 기반으로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로 레이어를 구분하여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기능이 한두 개 있을 때는… -
Firebase crashlytics으로 앱 안정성 확보하기
Firebase crashlytics으로 앱 안정성 확보하기
2024.06.26Firebase analytics 및 crashlytics으로 앱 안정성 확보하기개발을 하다보면 문제가 발생할 곳이라 생각해서 예외처리를 해두지만,실제는 다른 곳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느날 평화롭게 Firebase에서 사용자의 앱 안정성 확보를 위해 crashlytics 모니터링중 예상치 못한 버그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백업 너어는 정말…안드로이드에서는 개발을 할때 백업 기능이 기본적으로 활성화 되어 있었습니다. Android security를 통해 암호화를 진행하고 EncryptedSharedPreferences에 저장을 하고나서 복보화키는 Android KeyStore에 저장되는 구조였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안드로이드에서 백업이 이루어질때 SharedPref… -
직접 클라우드 서버 제작 및 서버 인프라 설계
직접 클라우드 서버 제작 및 서버 인프라 설계
2023.12.18서버구축에 있어서올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팀장 역할과 Android와 BackEnd 개발을 하게 되었습니다. Spring을 공부하고 있어 서버 개발은 할 수 있었지만, 서버 인프라 설계에 대해 잘모르고 있었습니다. AWS, GCP를 이용하면 시간 절약이 가능했지만 비용문제로 Local 서버로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라 학교에서 배운 네트워크 기반과 보안 지식을 꺼내야만 했습니다. 한정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로컬 컴퓨터에 서비스를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만약 서버가 문제가 생기면 다른 서비스에 영향이 갈 수 있고, 백업이 불편하다는 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특히 한정적인 로컬 자원을 잘 활용하며 백업이 유연해야 했습니다. 주변에 어떤 방법이 찾아보던중 이미 자원을 효율적으로… -
WebRTC란?
WebRTC란?
2023.04.10WebRTC란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는 웹과 애플리케이션에서 별다른 소프트웨어 없이 카메라, 마이크 등을 사용하여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WebRTC의 기술 시그널링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은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세션을 설명하기 위한 포맷이다. SDP 자체는 미디어 스트림을 전달하지 않지만, 엔드 포인트 간에 네트워크 메트릭, 미디어 유형 및 기타 관련 속성의 연결에 사용된다. 연결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은 실시간 음성, 비디오,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및 기타 상호작용 통신 부문에서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과 통신하여 Peer의 공인IP 주소를 보내는 것을 말…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